Apache : 2.4.41

OpenSSL : 1.1.1c

 

conf/httpd.conf 에서

 

LoadModule http2_module module/mod_http2.so  //주석해제

 

 

httpd.conf 제일하단 http2 활성화

 

#http2적용
ProtocolsHonorOrder On
Protocols h2 h2c http/1.1

 

 

 

 

 

 

 

 

 

반응형
<iframe src="PDF 주소" /></iframe>

 

위 방법을 사용중 문제가 발생하였다.

 

PC웹브라우져(익스,크롬) , IOS사파리(IOS wkwebview) 에서는 제대로 작동하는데

 

안드로이드(webview)에서는 해당 기능이 무슨이유에서인지 작동을 하지않는다.

 

이와 같이 PDF 뷰어가 작동하지않아 구글링 결과 구글 DOCS에서 뷰어를 iframe 으로 사용할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이 있다..

 

사용방법은

 

<iframe src="https://docs.google.com/gview?url=PDF파일URL&embedded=true" /><iframe>

위와 같이 PDF파일URL 부분에 본인이 넣고싶은 PDF파일의 주소를 넣고 iframe을 사용하면된다.

 

 

문제점:

 

1. 간혹 PDF파일이 로드되어 지지 않는 문제발생(미리보기없음이란 문구가 나옴)

- PDF 파일의 크기과 문제 없고 구글 DOCS상의 버그? 같아보임. 

- 다시 새로고침하여 로드하면 제대로 로드됨

 

 

 

반응형

사진은 <img>태그로 바로 섬네일을 만들거나 이미지를 바로 보여줄수 있다.

 

크롬에서 PDF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하면 PDF뷰어 처럼 사용할수있다.

 

웹에서 PDF뷰어 플러그인을 따로 설치하지 않고 뷰어처럼 사용할수 있다.

 

<iframe src="PDF주소URL" />

위와 같이 사용하면 바로 PDF를 볼수있다.

 

 

반응형

https://www.jqueryscript.net/mobile/jQuery-Plugin-For-Additional-Touch-Events-On-Mobile-Devices.html

 

jQuery Plugin For Additional Touch Events On Mobile Devices

Touch Events is a jQuery plugin which provides additional touch events & callback functions on mobile devices.

www.jqueryscript.net

기존 jquery 에서는 모바일의 tap기능 구현을 하드코딩으로 구현하였는데

 

jquery모바일 event만 모아서 구현가능함

 

ex)

 

$(selector).on("doubletap",function(event){

     alert("두번탭 확인");

});

 

구현가능

반응형

환경 

서버 : windows server 2012

apache 2.2

php 5.4

 

ssl 적용후 http와 https를 혼용해서 쓰고 www 와 www가 붙지않은 도메인을 혼용해서 사용해왔다.

 

하지만 단일화 해야할것같아 이것저것 내용을 찾다 정리해본다.

 

일단 우선 apache 의 httpd.conf 에서 

 

 

LoadModule rewrite_module modules/mod_rewrite.so

 

가 주석이 해제되어있어야한다.(만약 주석이 되어있다면 '#' 제거)

 

이후 

 

AllowOverride None 부분을 All 로 변경 한다.

 

 

부분을 확인하여 준다. 만약 .htaccess 부분이 없거나 다른 이름으로 되어있으면 위와같이 변경해준다.

 

그런후 htdocs 상위 root디렉토리에 

 

.htaccess 파일을 메모장으로 만든후 

 

아래와같이 입력해준다. ( 만약 .htaccess 파일이 있으면 밑에 이어붙이면된다.)

 

RewriteEngine On
RewriteCond %{HTTPS} off [OR]
RewriteCond %{HTTP_HOST} ^www\. [NC]
RewriteCond %{HTTP_HOST} ^(?:www\.)?(.+)$ [NC]
RewriteRule ^ https://%1%{REQUEST_URI} [L,NE,R=301]

 

이후 apache 를 재시작 해주면 적용된다..

 

http://www.example.com 

https://www.example.com 

http://example.com  

모두 https://example.com 으로 리다이렉트 된다.

반응형

$num = "-*1,000";

// Remove all illegal characters from num 
$num = filter_var($num , FILTER_SANITIZE_NUMBER_INT);
//FILTER_SANITIZE_NUMBER_INT
// Validate num 
if (filter_var($num , FILTER_SANITIZE_NUMBER_INT)) {
echo("$num is a valid INT");
} else {
echo("$num is not a valid INT");
}

반응형

윈도우,리눅스 동일하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을수 있다.


서버사양: windows 2012 server

웹서버: Apache 2.2

php: php5.4


먼저 구성을 하려면 선행되어야할것이 openssl 과 mod_ssl.so 가 설치되어 있어야한다.


본인은 mod_ssl.so가 없는 apache를 설치후 운영중이어서 mod_ssl.so를 따로 구하여서 설치하였다.


먼저 openssl로 개인키파일을 만들것.


openssl genrsa -des3 -out (키파일이름).pem 2048


이후 생성된 키파일로 CSR을 생성.


openssl req -new -key (키파일이름).pem>csr.pem


이후 생성할때 Country Name:KR state or Province Name : Seoul 과 같이 정보를 입력 


이후 Common Name 에 본인의 도메인을 입력후 


생성 (추가 입력사항-> Common Name 이후에 나오는것들 은 입력하지않아도된다고함...)

이후 csr.pem 파일이 생성된후 생성된 파일안에서 -------------BEGIN CERTIFICATE REQUEST-------로 시작되는 부분부터 ------END CERTIFICATE REQUEST------까지 를 복사하여 인증기관에 보내어 인증서 발급절차를 진행하여야한다.


본인은(가비아)에서 진행함.


인증절차를 진행후 총 5가지의 인증서가 메일?로 발송됨


이후 발급받은 인증서와 개인키 파일이 서로 일치하는지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서 확인함(일치하지않을경우 apache가 구동하지 않음)


openssl rsa -in (키파일이름).pem -modulus -noout | openssl md5

________키파일결과값_______________

openssl rsa x509 -in (인증서파일이름).pem -modulus -noout | openssl md5

________인증서파일결과값__________


키파일결과값 === 인증서파일결과값


이어야 정상적으로 아파치 구동이 됨.


아파치 설정(httpd.conf) 에서 

include conf/ssl.conf

LoadModule ssl_module modules/mod_ssl.so


의 주석을 해제한후.


ssl.conf 파일에서 virtualhost부분을 수정한다..


-SSLCertificateFile: (인증서파일).pem 파일의 경로를 알맞게 수정

-SSLCertificateKeyFile: (개인키파일이름).pem 파일의 경로를 알맞게 수정

-SSLCertifiCateChainFile: 체인인증서의 경로를 알맞게 수정


모든 설정 완료후 apache 재시작.


******확인할것*******

1. 방화벽에서 443포트 확인할것.

2. 재시작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할경우 ssl.conf 안에 정의되어있는 에러로그 파일의 위치에서 에러로그를 확인할것.



본인은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하면서 구글콘솔내에서 javascript interface관련 취약점보안 알림이 뜨면서 보안취약점을 해결하면서 ssl인증서를 적용하였다.


요즘들어 브라우저(크롬)에서 https 접속이 아니면 아래 캡쳐화면과 같이 빨간색으로 '주의요함' 으로 표시하고 무언가 해킹에 취약한것처럼 브라우저가 알림을 보내는 경우가 많아졌다.



지금까지는 SSL보안 인증서를 굳이 안해도 되는것이라 생각하고 있었는데 점점 보안이 강화되면서 이제는 ssl보안인증서를 적용안시키면 브라우저에서 아예 차단할것만 같은 느낌이 든다..


참고:https://customer.gabia.com/manuals/detail.php?seq_no=2759








반응형

APACHE에서 Alias(별칭) 설정하는 부분에서


일반적으로 디렉토리 를 설정한다.


예를들어 (윈도우기준)

 Alias /upload/ "D:/upload/"
   <Directory "D:/upload/">
       AllowOverride None
       Options None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irectory>

위와 같이 설정하면 www.example.com/upload/ 라는 URL로 D:/upload/ 를 접근할수있다. (윈도우기준)

그런데 현재 파일서버와 웹서버를 분리하는 시점에서 파일들이 웹서버에서 디렉토리로 접근이 불가하기 때문에 찾아보던중


APACHE의 mod_alias 모듈에서 Redirect지시어를 통하여 다른 웹서버의 파일을 Alias 설정 할수있다..


Redirect /upload/ http://0.0.0.0/upload/ 로 설정하게 되면 upload라는 키워드는 http://0.0.0.0/upload/로 사용 가능하다.




참고 : https://httpd.apache.org/docs/2.2/ko/mod/mod_alias.html

반응형

+ Recent posts